
놓치면 손해, ‘출퇴근비·이동비’도 국가가 일부 지원합니다
2025년 현재 교통비는 일상생활의 필수 지출 항목이지만, 청년·저소득층·노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비 환급 및 지원 제도’는 의외로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특히 출퇴근이나 통학 등으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계층은 제도를 제대로만 활용하면 연간 수십만 원을 절약할 수 있는 실질적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중앙정부 및 각 지자체가 운영하는 주요 교통비 지원제도, 대상 조건, 신청 방법 등을 항목별로 정리한다.
1. 청년 대상 교통비 지원 제도
① 청년 교통비 지원사업 (경기도 등)
• 지원대상: 경기도 거주 만 19~34세 청년 중 대중교통 이용자
• 지원내용: 분기당 최대 6만 원, 연 최대 24만 원 지역화폐 지급
• 신청방법: 경기도일자리재단 ‘잡아바’ 플랫폼에서 온라인 신청
• 지급방식: 지역화폐 카드 또는 앱으로 자동 충전
② 취업성공패키지 참여자 교통비 지원
• 대상: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1·2유형)
• 지원내용: 구직활동 시 면접 교통비, 훈련기관 통학비 지원
• 신청방법: 고용센터 통해 구직활동비 항목 청구
③ 서울시 청년패스 교통카드
• 지원대상: 서울 거주 저소득 청년
• 지원내용: 월 교통비 일부 지원(정기권 형태)
• 특징: 일정 근무 시간 이상 충족 시 자동 충전
2. 노인 및 장애인 대상 교통비 감면 제도
① 지하철 무료 이용 (만 65세 이상)
• 수도권, 대전, 부산 등 주요 도시 지하철 무료 이용 가능
• 방법: 만 65세 이상 교통카드 등록 → 자동 적용
② 시내버스·마을버스 감면
• 지자체별로 다름, 일부는 전액 면제, 일부는 30~50% 감면
• 예시: 서울·부산 일부 구간은 무료, 경기도는 30% 감면
③ 장애인 교통비 지원 바우처
• 지원내용: 이동지원서비스 또는 콜택시 바우처 제공
• 신청방법: 주민센터 또는 장애인복지카드 등록 후 신청
• 지원범위: 월 10회~40회 무료 이용 또는 일정액 한도 지급
3. 저소득층 및 기타 교통비 지원 제도
① 기초생활수급자 교통비 감면
• 대중교통 이용 시 요금 감면
• 서울시 등 일부 지역은 무료 / 대부분 30% 할인
• 신청방법: 수급자 등록 후 교통카드 연계 필요
② 농어촌 교통복지카드
• 대상: 농촌·도서지역 교통 취약계층
• 내용: 연간 최대 48만 원 상당 교통이용 바우처 제공
• 신청처: 각 시·군청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③ 출산·육아 교통비 지원 (일부 지자체)
• 대상: 임산부, 다자녀 가정
• 내용: 교통카드 충전 또는 택시 바우처 지급
• 예시: 경상북도 일부 지자체는 월 2만~3만 원 정기 지급
4. 신청 방법 및 꿀팁
• 신청은 대부분 지역별 플랫폼 또는 주민센터에서 가능
• 카드 연계 등록 필수: 단순 교통카드 이용만으로는 적용 안 됨
• 지원 횟수와 기간 제한 있음: 분기별, 연간 횟수 제한 확인 필요
• 복수 혜택 중복 불가 주의: 청년·장애인·수급자 중복 시 가장 유리한 제도 1개만 적용
실제 수혜 사례
• A씨(경기도 거주 청년, 분기 6만 원 × 연 4회 = 24만 원 환급)
• B씨(기초생활수급자 + 장애인 등록)
• 버스·지하철 무료 이용 + 장애인 콜택시 월 20회 무료
• C씨(서울 노인 1인 가구)
• 지하철 무료 + 마을버스 감면으로 교통비 연간 30만 원 절약
교통비는 고정비지만, 아는 만큼 줄일 수 있다
통신요금, 전기요금만큼이나 교통비도 ‘절약 가능한 생활비’ 항목이다. 정부는 다양한 계층에게 교통비를 줄여주는 복지 정책을 제공하고 있지만, 신청하지 않으면 단 한 푼도 받을 수 없다.
오늘 하루 교통카드를 몇 번 찍었는가? 그만큼 당신이 놓친 지원금이 있을 수 있다.
매일말씀저널 | 현명한 크리스천 생활정보
(출처: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서울시·경기도 교통복지정책, 각 지자체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