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쓰고도 못 챙기는 내 돈, 카드 포인트 제대로 돌려받는 법
2025년 현재, 국민 대부분은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최소 2장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일부는 5장 이상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하지만 카드 포인트는 여전히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 채 소멸되거나 묻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2021년부터 시행된 ‘카드 포인트 현금화 통합 서비스’ 제도 이후에도 많은 이들이 제도를 모르거나, 현금화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아 연간 수백억 원의 포인트가 소멸되고 있다. 실제 금융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약 3,000억 원 이상의 카드 포인트가 미사용으로 사라졌다.
아래는 카드 포인트를 실제로 현금화하는 방법부터, 숨어 있는 포인트를 찾는 툴, 자동 전환 설정 요령까지 정리한 실전 가이드다.
카드 포인트 현금화 통합조회 시스템 활용법
정부는 여러 카드사에 흩어져 있는 포인트를 한 번에 조회하고 현금처럼 내 계좌로 바로 이체할 수 있는 통합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 사용 방법
1.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사이트 접속 (또는 ‘어카운트인포’ 앱 이용)
2.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로그인
3. 본인 명의 카드사 전체 포인트 조회
4. 사용 가능한 포인트 → 계좌로 현금 이체 신청
• 참여 카드사
• 신한, KB국민, 삼성, 현대, 롯데, 하나, 우리, 비씨 등 주요 카드사 모두 포함
• 일부 카드사의 선불형 포인트(예: 멤버십 전용 포인트)는 제외될 수 있음
주의사항: 가족카드, 법인카드, 기프트카드 포인트는 제외 대상이며, 계좌 이체는 본인 명의 은행계좌로만 가능하다.
놓치기 쉬운 카드 포인트 3대 유형
1. 소멸 예정 포인트
• 대부분의 카드사 포인트는 5년 유효기간이며, 1개월 단위로 자동 소멸
• 앱 알림이 없는 경우 조용히 사라지는 경우가 많음
• 포인트 유효기간 확인은 각 카드사 앱 또는 통합조회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2. 잔여 잔돈 포인트
• 1~500원 사이의 단위 포인트는 결제 시 사용할 수 없어 대부분 방치
• 일정 금액 이상 모이면 현금 이체 가능하므로, 소액도 꾸준히 조회 필요
3. 적립 후 전환 필요한 포인트
• 일부 카드사는 포인트 전환 신청 후에만 사용 가능
• 예: 롯데 L.POINT, 현대 M포인트, 삼성 U포인트 등은 제휴사 전환 없이 사용 불가 항목 존재
포인트 현금화 외에도 가능한 활용처
• 대형 마트, 편의점, 주유소 결제 시 일부 포인트 자동 차감 설정
• 항공 마일리지 전환 (예: 아시아나, 대한항공)
• 통신요금, 아파트 관리비 납부 포인트 결제 가능 (일부 카드사)
• 상품권, 기프티콘 구매용 쇼핑몰 포인트 전환
• 문화생활: 영화관, 서점, 음원 스트리밍 결제에 포인트 차감 적용
※ 포인트 사용 설정은 카드사 앱 내 ‘포인트 사용설정’ 메뉴에서 기본값을 ‘자동사용’으로 바꿔야 무의식 중에도 활용 가능하다.
포인트 활용도 높이는 꿀팁 5가지
1. 매월 말일 전에 통합 조회 사이트 접속해 유효기간 확인
2. 자주 쓰는 카드 1~2개로 집중 관리해 포인트 분산 최소화
3. 모바일 간편결제 앱(삼성페이, 페이코 등)에 포인트 자동 연결
4. 기프트카드 전환이 가능한 카드사 이벤트 주기적으로 확인
5. 가족카드 사용 시에도 본인 포인트 적립이 가능한지 확인 후 설정
카드 포인트는 결국 ‘눈먼 돈’이 아니라 ‘숨은 돈’이다
카드사들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며 포인트를 다양하게 쓸 수 있는 구조를 확대하고 있지만, 그 혜택을 제대로 챙기는 사람은 극히 일부다.
지금도 수천억 원의 포인트가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은, 결국 누가 정보를 아느냐에 따라 돈이 생기느냐, 사라지느냐가 갈리는 시대라는 것을 말해준다.
포인트를 잘 쓰는 사람은 신용카드의 진짜 가치를 아는 사람이다.
매일말씀저널 | 현명한 크리스천 생활정보
(출처: 금융위원회, 카드포인트통합조회시스템, 각 카드사 고객센터 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