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싶다면 단순 메모 방식이 아닌 가계부 앱을 통한 자동화 관리가 효과적이다. 특히 대표적인 앱인 ‘토스(Toss)’와 ‘뱅크샐러드(Banksalad)’는 자산 연결부터 소비 분석까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자 경험과 보안, 분석력에서 차이점이 뚜렷하다.
이 글에서는 토스와 뱅크샐러드의 주요 기능, 장단점, 추천 사용자 유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해, 내게 딱 맞는 가계부 앱 선택을 도와준다.
1. 기본 정보와 서비스 성격
항목 토스 (Toss) 뱅크샐러드 (Banksalad)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 레이니스트
주요 기능 자산 통합 조회, 송금, 대출 비교, 보험 관리 등 자산 조회, 건강정보, 맞춤 리포트, 소비 분석 중심
사용 목적 금융 종합 관리 플랫폼 자산 관리 중심 가계부 앱
주요 연령대 20~40대 30~50대
2. 계좌 연동과 자산 자동 집계
토스:
• 금융사 연동 속도 빠름, 연결 실패율 낮음
• 카드, 계좌, 보험, 대출까지 자동 연동
• 통합 자산 현황을 직관적인 차트로 제공
• 월 지출, 소비 카테고리, 고정비 자동 분류 우수
뱅크샐러드:
• 연동 후 데이터 분석 리포트 생성
• 카드사별, 지출 유형별 통계 제공
• 소득/지출 흐름, 적금 추적 등 세밀한 보고서 강점
• 일부 금융사 연동 속도 느리거나 오류 빈도 있음
3. 소비 분석 및 리포트 기능
토스:
• 실시간 소비 알림 제공
• ‘이번 달 지출 요약’ 카드 제공
• 고정비 분석 기능 탑재 (통신비, 구독 서비스 등)
• 리포트는 단순 비교 중심, 시각화는 간편
뱅크샐러드:
• 소비 패턴 비교 리포트 강화
• 지출 변화 추이, 이상 지출 탐지, ‘다음 달 예산’까지 제공
• 자세한 그래프 기반의 주간/월간 리포트 강점
• 리포트 설정 세분화 가능
4. 추가 기능 – 대출, 투자, 건강정보까지
토스의 강점:
• 대출 한도 조회 및 비교 서비스
• 간편 송금, 토스증권과의 연동 가능
• 보험 리모델링, 환율 계산기 등 실용 기능 많음
뱅크샐러드의 특화:
• 건강검진 정보 조회, 식단 관리 기능
• 국민건강보험 연동 → 가족 건강 기록까지 확인
• 투자 분석 기능은 간단 요약 중심
5. 보안성과 개인정보 보호
토스:
• 금융기관 수준의 보안 인프라 보유
• 생체인증, PIN 설정, 이중 보안 장치
• 금융사 인증 기반으로 연동 안전성 높음
뱅크샐러드:
• 사용자 데이터 기반 추천이 많아 개인정보 제공 동의 항목 많음
• 2020년 정보 유출 이슈 이후 보안 강화됨
• 광고 및 맞춤 제안 노출 잦아 거부감 있는 사용자도 있음
6. 누가 어떤 앱을 쓰면 좋을까?
토스 추천 사용자:
• 금융 통합 관리와 송금을 한 번에 하고 싶은 사용자
• 소비 분석보다 대출, 보험, 송금 기능 활용 빈도 높은 사람
•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선호, 자산 현황 빠르게 확인하고 싶은 사용자
뱅크샐러드 추천 사용자:
• 지출 분석, 리포트, 건강관리 기능까지 세부 관리 원하는 사용자
• 예산 설정, 소비 흐름 기록 등에 관심 많은 사람
• 주 단위, 월 단위 정밀 가계부를 원하는 재무관리 성향 강한 사용자
자산 관리는 앱 선택부터 시작됩니다
같은 가계부 앱이라도 ‘어떤 기능에 무게를 두느냐’에 따라 선택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단순 자산 조회만 원하는가, 아니면 소비 분석·투자·보험까지 확장하길 원하는가에 따라 토스와 뱅크샐러드는 서로 다른 해답을 줍니다.
지금 내 금융 소비 습관을 돌아보고, 가장 자주 쓰는 기능을 기준으로 선택해보세요. 올바른 가계부 앱 하나가 내 돈의 흐름을 완전히 바꿔줄 수 있습니다.
매일말씀저널 | 디지털 똑생활